장소는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 슬로베니아의 수도이지만 슬로베니아의가 인구 200만의 나라여서 수도도 인구 28만의 작은 도시이고 구시가의 왠만한 곳은 걸어서 1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곳입니다. 사진은 류블랴나의 상징 중 하나인 3중 다리인데 자동차가 다리를 다니면서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양 옆에 덧붙여 3중 다리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다리를 만든 건축가는 류블랴나를 대표하는 분인데 저렴한 건축비로 있어보이는 작품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이 학회는 교수, 박사 또는 박사학위 심사 직전의 박사과정 학생에게만 발표를 허락하고 single session으로 진행되어 발표의 수준도 높고 들을만한 발표도 많은 듯 합니다. 큰 스케일의 CFD를 보여준 Nieto 교수의 key-note를 비롯해서 프로젝트 기반의 유체 교육을 보여준 Texas A&M 교수님 발표 등 꽤 인상깊은 발표가 많았습니다. 

커피 브레이크 시간에 과일을 제공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뭔가 피로가 풀리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슬로베니아는 살구가 맛있는 듯 합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배터리의 열관리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고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 주셨고 발표 후에 좌장을 맡은 De Wilde 교수도 훌륭한 발표였다고 따로 말씀해 주셨습니다.


2018년 하계 유체기계학회에서는 김광호 박사님 특별세션과 함께 서상호 교수님 은퇴 기념 초청강연이 있었습니다. 의공학 관련 말씀을 하시면서 같은 물건이라도 의료용으로 사용되면 가격에 동그라미가 2개거 더 붙는다는 말씀이 기억에 남습니다.

특별강연으로 효성 굿스프링스의 임우섭 대표이사님의 강연을 들었는 데 너무 많은 사례들을 말씀해 주셔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만찬 축사는 제주대학교 송석언 총장님께서 해 주셨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가스터빈 LES에 대한 tutorial session에서 강연을 하였고 CFD 세션의 좌장을 맡았습니다. 


평창 올림픽을 거치면서 KTX가 생겨 용평에 기차를 타고 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차역은 올림픽역 내지는 진부(오대산)역. 평창 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반다비가 반겨줍니다.

예년보다 조금 일찍 장마철이 되기 전에 열린 학회. 날씨가 정말 좋습니다.

초청강연은 숭실대 유호선 교수님의 '전환기의 설비공학'입니다. 설비법이 통과된 지금이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우는 지금이 전환기 일지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는 3개의 international session이 열렸는 데 그 중 첫 번째 세션의 좌장을 맡아 보았습니다. 발표자가 모두 외국인이고 영어로 하니 마치 국제학회의 좌장을 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IGCC에 연계한 바이오 수소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발표자인 장성일 박사는 우수 발표상을 받았습니다. 장성일 박사, 축하합니다. 


+ Recent posts